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7

지질이상증(고지혈증)-원인의 80%는 생활습관병! 지질이상증(고지혈증)지질 이상증은 이전에는 "고지혈증"이라고 불리던 질병입니다. 혈액 중에 녹아 있는 지질 중 어느 것이 정상치의 범위에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혈액의 지질이 너무 많아 동맥 경화를 일으키기 쉬워지면 심근 경색과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 자각 증상도 없고 일상생활을 보내는 데 있어서의 불편함도 별로 없기 때문에 방치해 버립니다만 그대로 두면 지질이 혈관벽에 쌓여 동맥 경화를 일으킵니다. 동맥 경화가 되어도 자각 증상이 없고, 심근 경색이나 뇌경색 등 심각한 사태가 발생하면 그때가 되어 겨우 그 중대함을 깨닫게 됩니다. ​ 과거에는 지질 이상증은 그다지 많이 보이지 않았습니다만, 현재는 해마다 계속 늘고 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식생활의 변화입니다. 어류. 곡류. 야채를 중심으.. 2024. 4. 3.
눈이 마르고 눈이 피곤한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안구건조증이란 에어컨이나 PC, 스마트폰, 콘택트렌즈, 노화 등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최근 환자 수는 2200만 명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눈물에는 물과 기름 등 많은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눈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눈물에 포함된 물질의 균형이 나빠지면 눈물이 균등하게 넘어가지 않아 눈 표면에 흠집이 생깁니다.  1. 안구건조증의 원인.우선 눈물에는 물과 기름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성분이 부족해지는 질이 바뀌면 눈물이 마르기 쉬워져 증상이 나타납니다.  물 성분이 부족한 타입- 노화와 함께 눈물의 수분을 생성하는 눈물샘의 생성 기능이 약해지거나 전신질환에 의해 눈물샘에 염증이 일어나거나 함으로써 눈물의 수분량.. 2024. 4. 2.
스트레스 stress "스트레트"스트레스는 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현대인이 스트레스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 너무 바빠 쉬지도 못하고 일을 한다든지, 가족 부양 의무 때문에 꽉 찬 스케줄 때문에 하루를 마칠 때쯤이면 어깨가 뻐근하거나 머리가 띵하고 극심한 피로감이 밀려오는 등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  현실적으로 스트레스는 행복과 안정을 위협하는 사건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원시시대에 조상들이 송곳니를 드러내고 달려드는 호랑이를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던 투쟁 도피 반응(갑작스러운 자극에 맞설지 또는 도주할지 대응하는 본능적 반응)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에 대한 반작용은 이러한 위기 상황들에 대처하도록 우리를 지탱해 주고 생존의 여지를 넓혀준다.  1. 스트레스의 원인요즈음 스트레스는 장시간 .. 2024. 3. 29.
습진(아토피) Eczema 습진(아토피) Eczema피부가 갑자기 건조하고 근질거린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약 1,500만 명의 미국인은 이로 인한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주로 피부에 잘 안 보이는 부스럼이나 거북한 붉은색 부스럼이 생기는, 습진이라 부르는 피부 질환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그 빈 중에서 특히 아토피 피부염은 유아기에 발생하는데, 이것은 건조하고 붉어지고 가려운 특징을 지닌 흔한 피부 장애이다. 가려움을 참지 못하는 아이들은 가려움증과 긁기의 악순환을 경험하게 되고, 피부는 더 발갛고 붓고 갈라지게 된다. 때로 피부에 생긴 상처에 진물이 나는 수포가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나중에는 피부가 두꺼워지고 부스럼이 생기게 된다.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피부과를 찾는 환자의 약 10~20%가 습진 환.. 2024. 3. 29.
젊은 나이에도 올 수 있는 "노안" 젊은 나이에도 올 수 있는 "노안"몸이 1000냥이면 눈은 900냥이라는 말도 있고,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도 불린다. 신체기관 중 가장 존중받지만 노화 또한 가장 빨리 오는 기관이 눈이다. 보통 50대가 넘어서야 찾아오던 노안이 최근엔 40대에 찾아오는 경우도 많다. 이제 중년인으로 바꿔 부르자는 의견이 나올 만큼 노안이 흔해졌다. 눈을 건강하게 만드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제 노안은 노인의 문제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한 안과병원에서 지난 5년 동안 노안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40대 노안 환자가 2006년부터 빠르게 증가했다. 전체 노안 환자 중 40대 비율은 2005년 25%였던 것이 2009년에는 40.9%로 2배 정도 늘어났고, 2007년부터는 50대 34.4%. 40대 33.2%였는데.. 2024. 3. 29.
피나는 잇몸, 무너지는 건강 "잇몸질환" 피나는 잇몸, 무너지는 건강 "잇몸질환"이 질환은 기네스북에 올라 있는 질환이다. 인류가 탄생하고 지금까지 가장 많은 감염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고, 대한민국 40대 이상의 장노년층의 경우 80~90%에서 발생한다.  바로, 바람만 들어와도 이가 시려서 풍치라고도 불리는 "잇몸질환" 혹은 '면역도 생기지 않고 호전되지 않는 무서운 병'이란 표현도 무색하지 않다. 충치와 달리 통증이 심하지 않아서 참다 참다 병원에 가면 잇몸 뼈가 녹아 있는 경우도 많다. 건강도 지키도 병원비도 절약할 수 있는 잇몸 관리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40대 이상에서 80~90% 면 거의 모든 성인이 잇몸질환을 앓고 있다고 해도 과연이 아니다. 20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과반수에서 35세 이후에는 4명당 3명꼴로, 그리고 40세 이.. 2024. 3. 29.